https://www.acmicpc.net/problem/1018 1018번: 체스판 다시 칠하기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 B는 검은색이며, W는 흰색이다. www.acmicpc.net [풀이]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문제이며, 확인해야할 체스판의 크기는 8 * 8로 고정되어있으므로 이에 맞게 인덱스에 7을 더해줘야한다. solve 메소드에서의 for 반복문의 인덱스는 크기가 8인 체스판이므로 이에 맞게 인덱스를 정한다. 이 메소드에서 지금의 판의 값과 그 다음 비교할 값은 달라야 한다. 하지만 같다면 count변수에 1을 더해준다. 그러므로, boolean 변수를 계속 변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436 1436번: 영화감독 숌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숫자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 www.acmicpc.net [풀이]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문제이며, while 반복문에서 숫자를 하나씩 증가하면서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조건은, 666이라는 숫자가 포함되어있는지 contains() 메소드를 이용해서 확인하면 된다. [코드]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
https://www.acmicpc.net/problem/1120 1120번: 문자열 길이가 N으로 같은 문자열 X와 Y가 있을 때, 두 문자열 X와 Y의 차이는 X[i] ≠ Y[i]인 i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X=”jimin”, Y=”minji”이면, 둘의 차이는 4이다. 두 문자열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의 www.acmicpc.net [풀이] A의 문자열이 더 짧으므로 B의 문자열의 앞부분부터 A의 문자열 길이만큼 for 반복문으로 비교하면된다. B의 문자열의 인덱스를 시도한 횟수만큼 더해주는 것에 신경써야한다. [주의해야할 부분] 문자열의 인덱스만 신경쓰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코드]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
[목차] 1. Strategy Pattern - 전략 패턴이란? 2. 전략 패턴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 3. 구현해보기 전에 알아보자! 4. 전략 패턴 구현방법(예제 활용) 5. 결론 | Strategy Pattern - 전략 패턴이란? the strategy pattern (also known as the policy pattern) is a behavioral software design pattern that enables selecting an algorithm at runtime. Instead of implementing a single algorithm directly, code receives run-time instructions as to which in a family of algor..
[목차] 1. Factory Method Pattern - 팩토리 메소드 패턴이란? 2. Factory Method Pattern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 3. 구현하기 전에 알아보자! 4. 팩토리 메소드 구현방법(예제 활용) 5. 결론 | Factory Method Pattern - 팩토리 메소드 패턴이란? The factory method pattern is a creational pattern that uses factory method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creating objects without having to specify the exact class of the object that will be created. This is done by creating ..
[목차] 1. Builder Pattern - 빌더 패턴이란? 2. Builder Pattern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 2-1. 점층적 생성자 패턴 2-2. 자바빈 패턴 2-3. Builder Pattern의 단점 3. 구현을 보기전에 알아두면 좋은 부분 4. 빌더 패턴의 구현 방법 5. 결론 | Builder Pattern - 빌더 패턴이란? 빌더 패턴은 생성 패턴(Credential Pattern)중 하나입니다. 빌더 패턴은 객체의 생성을 유연하게 해주는 패턴입니다. 빌드 패턴은 객체의 생성과정과 객체의 표현 방법을 분리합니다. | Builder Pattern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 빌더 패턴을 이용하면 가독성이 이전보다 좋아지며 인자의 의미를 코드에서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setter() 메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