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3번: 직사각형 탈출 (acmicpc.net) 16973번: 직사각형 탈출 크기가 N×M인 격자판에 크기가 H×W인 직사각형이 놓여 있다. 격자판은 크기가 1×1인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격자판의 가장 왼쪽 위 칸은 (1, 1), 가장 오른쪽 아래 칸은 (N, M)이다. 직사각형의 가장 www.acmicpc.net [풀이] BFS 유형의 문제였습니다. 내부클래스로 Point를 선언하여 x와 y좌표 그리고 거리를 담았습니다. 기존의 BFS 유형의 문제처럼, Queue를 이용해서 구현하였으며 좌표가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했습니다. 직사각형 내부에 벽이 있으면 안되므로, 직사각형 내부도 확인하면서 이동할 좌표에 대한 범위를 체크했습니다. 이동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해 bfs 메소드 내에 이동한 곳의 좌..
| 1006 [공부한 내용] 코딩 테스트 백준 16973번 직사각형 탈출 강의 수강 Cloudfront, S3, RDS, shell 실습 및 강의 JPA 과제 추가 피드백 반영 [하루 정리] 오늘은 AWS의 여러 기능들을 한번 실습해보는 강의를 수강했다. 이전에 한번씩은 봤었던 부분이라 크게 어려움 없이 실습을 따라갈 수 있었다. 확실히, 가르쳐주시는 분이 있어서 이전에 혼자 공부했을 때 똑같은 내용을 듣더라도 이해하는 속도도 차이나고 공부에 열의가 생기는 것 같다. 전에 아쉬웠던 AWS 공부를 이번에 확실히 해봐야겠다. 오늘 푼 코딩 테스트는 BFS와 관련한 문제였는데 테스트 케이스는 통과하고, 조건도 다 구현한 것 같은데 계속 통과하지 못해 문제가 되는 부분을 찾느라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루에 ..
| 1005 [공부한 내용] 코딩 테스트 백준 16236번 아기 상어 강의 수강 탄력적 IP 세팅 리눅스 명령어 실습 영속성 컨텍스트 복습 [하루 정리] 먼저 영속성 컨텍스트 피드백을 반영하면서, 변경 감지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이 생겨 복습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근데 확실히, 처음에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책을 봤을 때 'ㅇ...이게. 무슨..이야기지?!' 이랬던 내용이 강의도 듣고 실습도 해보고 여러번 책도 읽어서 그런지 '오호!!! 이거였구나?!' 이런 느낌으로 좀 바뀐 것을 느꼈다. 코테 문제로 '알모닝'에 있던 아기 상어 문제를 풀어보려했는데 구현과 BFS를 이용해서 푸는 것은 알겠는데.. 시간은 엄청 쏟고 풀지는 못했다. 음.. 허탈하기도 한데.. 다음에 다시 도전해봐야지 뭐....
| 1004 [공부한 내용] 코딩 테스트 백준 1780번 종이의 개수 강의 수강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AWS 주요 서비스 개념 EC2 실습 JPA 과제 PR 리뷰 [하루 정리] 사실.. 하루 지나서 TIL을 작성하는 건데.. 음.. 어제 코테 스터디 친구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니 시간이 훌쩍 지나가서 그냥 자버렸다..ㅎㅎㅎㅎㅎ 그래도 일단 어제 한 공부하거나 했던 내용 일단 기록했으니 끝!!!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1780번: 종이의 개수 N×N크기의 행렬로 표현되는 종이가 있다. 종이의 각 칸에는 -1, 0, 1 중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우리는 이 행렬을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자르려고 한다. 만약 종이가 모두 같은 수 www.acmicpc.net [풀이] '쿼드 트리' 방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이전에 4개의 공간으로 분할해서 푸는 문제를 의미하여 쿼드트리이지만 이번에는 9개로 분할해서 푸는 문제입니다.) N은 3의 제곱수 이기 때문에 계속 9개로 분리를 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1개로 분리가 됩니다. 9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야 하기 때문에 각 나눠진 것은 원래 크기의 3분의 1 크기로 감소합니다. check() ..
https://www.acmicpc.net/problem/2512 2512번: 예산 첫째 줄에는 지방의 수를 의미하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3 이상 10,000 이하이다. 다음 줄에는 각 지방의 예산요청을 표현하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 값들은 모두 1 이상 www.acmicpc.net [풀이] 이분 탐색과 관련한 문제입니다. mid 변수는 내야할 세금을 의미하며 sum 변수는 모든 지방의 세금에 대한 합입니다. 내야할 세금을 낼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세금에 대한 값을 sum에 더하고 낼 수 없는 곳은 최대의 세금을 sum에 더합니다. 이후 sum 변수를 이용해서 내야할 세금보다 많은 경우에는 세금을 줄이는 식으로, 반대의 경우에는 세금을 높여서 최적의 경우를 찾습니다. [..